전체메뉴
닫기
국민을 지키는 국회 미래로 나아가는 국회
창닫기

국회정보나침반

관리기관
서비스명
관리기관
창닫기

정책 오피니언

[글로벌이슈브리프]글로벌 사우스의 도시화

  • 기사 작성일 2025-04-23 10:27:13
  • 최종 수정일 2025-04-23 10:27:13
박세훈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장
박세훈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장

오늘날 글로벌 도시화 현상은 그 속도와 규모에 있어서 전례가 없는 수준이다. 도시인구의 폭발적 증가는 특히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2015년부터 2050년까지 전 세계 신규 도시인구의 90%는 글로벌 사우스(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도시들에서 탄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사우스의 도시화는 이전 시기 글로벌 노스의 도시화와는 차별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사우스 국가의 도시화 관리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글로벌 사우스의 경제성장 없는 도시화

 

오늘날 글로벌 사우스 도시화의 가장 큰 특징은 글로벌노스 국가에서 도시화가 수행했던 역할, 즉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더 이상 수행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대체로 식민지의 경험으로 인해 자원의존적 경제체제와 자원수탈형 인프라 구조, 생산성이 낮은 농업 경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농촌주민들은 더 나은 삶의 기회를 찾아 서비스에 의존하는 '소비도시(consumption cities)'에 집중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산업화 없는 도시화를 초래한다. 이는 제조업 육성을 통해 '생산도시(production cities)'로 성장시켰던 글로벌 노스의 도시화와 대조가 된다. 이와 더불어 1980년대 이후 기술의 발달과 자동화의 경향은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이 기술 숙련을 통해 제조업을 육성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글로벌 사우스의 비공식 부문 확대

 

비공식부문 성장은 글로벌 사우스 도시화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이다. 오늘날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그리고 글로벌 사우스 국가 인구의 3분의 2가 비공식 주거지에 거주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의 토지소유관계의 90%는 문서화되어 있지 않으며 정부의 공식적 관리체계에서 벗어나 있다. 그동안 많은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도시의 비공식 부문을 제거하고 이를 공식부문에 편입시키는 것을 정책 목표로 추진해 왔다. 그러나 도시 비공식부문에 대한 이러한 접근은 역설적으로 많은 비공식부문 종사자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도시가 기초서비스 제공하는 역량을 약화시키고 있다.

 

글로벌 사우스 도시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필요

 

글로벌 사우스의 도시화는 우리에게 도시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의 제기한다. 서구의 경험에 기초한 도시화에 대한 인식과 접근방식이 글로벌 사우스에 적합한지에 대해 성찰이 필요한 것이다. 최근 UN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수립 이후 글로벌 사우스 도시화에 대한 보다 통합적이고 전향적인 접근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최근 일군의 도시연구자들은 글로벌노스의 경험에 기반한 도시화에 대한 이해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글로벌 사우스 도시화에 대한 탈서구적 이해를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과 논의들은 그간의 글로벌 사우스 도시화 인식에 대한 성찰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찰이 향후 글로벌 사우스의 지속가능한 도시화를 향한 노력에 새로운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 박세훈은 서울대학교에서 도시계획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도시개발의 정치경제, 도시계획의 역사 등이다. 주요 연구로 『Exporting Urban Korea?』(공저, Routledge), 『New Urban Governance and the Dilemma of Participatory Planning in South Korea』 등이 있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글로벌이슈브리프 바로가기

http://www.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list_no=179306&otp_id=&act=view

 

'생생한 국회소식' 국회뉴스ON

  • CCL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코리아 표시
    라이센스에 의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저작자 표시 저작자 표시 : 적절한 출처와 해당 라이센스 링크를 표시하고 변경이 있을 경우 공지해야 합니다.
  • 비영리 비영리 :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변경금지 변경금지 : 이 저작물을 리믹스,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을 작성하였을 경우 공유할 수 없습니다.

재미있고 유익한 국회소식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