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국민을 지키는 국회 미래로 나아가는 국회
창닫기

국회정보나침반

관리기관
서비스명
관리기관
창닫기

의장동향

禹의장 "독립운동가 발굴에 그치지 않고 널리 알려야"

  • 기사 작성일 2025-03-25 16:10:47
  • 최종 수정일 2025-03-25 16:11:31

25일(화) 추강(秋岡) 김지섭 의사 추모 강연회 및 토론회 참석
"홍범도 흉상 사례처럼 사회적 기억 형성해 역사 왜곡 시도 맞서야"

 

우원식 국회의장은 25일(화)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추강(秋岡) 김지섭 의사 추모 강연회 및 토론회에 참석
우원식 국회의장이 25일(화)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추강(秋岡) 김지섭 의사 추모 강연회 및 토론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국회사무처 사진팀)

 

우원식 국회의장은 25일(화)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추강(秋岡) 김지섭 의사 추모 강연회 및 토론회에 참석했다. 김지섭 의사는 의열단에 가입해 1924년 일본 왕궁 앞에 폭탄 3개를 던지고 체포돼 순국한 독립운동가로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됐다.

 

우 의장은 "일본 왕궁 앞에 폭탄을 투척한 김지섭 의사의 의열투쟁은 일제가 신성시하던 대상을 향한 첫 의거로, 독립투쟁의 대상과 방법이 확대되는 전환점이 된 사건"이라며 "저의 외조부 김한 선생도 김지섭 의사와 마찬가지로 의열단에서 활동했는데, 독립운동가 후손으로서 선열들의 정신과 업적을 잘 계승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하게 된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25일(화)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추강(秋岡) 김지섭 의사 추모 강연회 및 토론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국회사무처 사진팀)
25일(화)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추강(秋岡) 김지섭 의사 추모 강연회 및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국회사무처 사진팀)

 

우 의장은 "독립운동가 발굴에만 그치지 않고, 더 깊고 넓게 연구되도록 지원하고, 계기가 있을 때마다 한분 한분 의미를 재조명해 널리 알려야 한다"며 "독립운동에 대한 정확한 기록과 연구, 교육을 통해 사회적 기억을 잘 형성해서 그것이 상식 수준이 되면 역사 왜곡 시도는 힘을 쓰지 못한다는 것을 홍범도 장군 흉상 사례에서 우리 모두가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올해 광복 80주년, 을사늑약 120주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우리의 뿌리와 정체성을 다시 한번 확고히 다지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충분히 조명되지 않은 수많은 독립운동가들, 그리고 청산되지 않은 역사적 사건들에 대해 온 국민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는 김문수 의원이 주최하고 광복회, 조선의열단기념사업회, 6·10만세운동기념사업회, 권오설·권오상 기념사업회, 국가만들기 시민모임이 후원했으며, 정진욱 의원, 한국근현대사학회 김용달 회장, 이해영 한신대 교수, 박경목 충남대 교수, 강윤정 안동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생생한 국회소식' 국회뉴스ON
김진우 기자 bongo79@assembly.go.kr

  • CCL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코리아 표시
    라이센스에 의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저작자 표시 저작자 표시 : 적절한 출처와 해당 라이센스 링크를 표시하고 변경이 있을 경우 공지해야 합니다.
  • 비영리 비영리 :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변경금지 변경금지 : 이 저작물을 리믹스,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을 작성하였을 경우 공유할 수 없습니다.

재미있고 유익한 국회소식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