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국민을 지키는 국회 미래로 나아가는 국회
창닫기

국회정보나침반

관리기관
서비스명
관리기관
창닫기

발행물 및 보고서

국회예정처, 『NABO 인구·고용동향 & 이슈』 창간

  • 기사 작성일 2025-02-25 14:49:16
  • 최종 수정일 2025-02-25 14:50:19

인구동향, 고용동향, 지속가능발전지표 등 주요 지표와 심층적인 분석 제공

 

 

국회예산정책처(처장 지동하)는 25일(화) 『NABO 인구·고용동향 & 이슈』를 창간했다.

 

계간(연 4회) 발행되는 간행물은 인구동향, 고용동향, 지속가능발전지표 등 성장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지표와 심층적인 이슈 분석을 제공한다.

 

<인구동향>에 다르면 우리나라의 출생아수는 반등한 반면 초고령사회(만 60세 이상 인구비율 20%)에 본격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혼인건수와 출생아수가 반등하고 가족 형성에 관한 긍정적인 사회인식이 다소 높아졌지만 생산연령인구 비중이 하락하고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초과했다.

 

<고용동향>에서는 전년동월대비 취업자수가 일부 회복세를 보였으나, 이를 산업별·연령별로 살펴본 결과 상이한 흐름을 확인했다.

 

건설업과 제조업 고용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20대 이하의 고용률은 낮아지고, 60대 이상 취업자수 및 고용률은 증가했다.

 

<지속가능 성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전지수 목표 중 보건 분야 성취 수준을 살펴보고 일부 개선 사항을 확인했다.

 

우리나라 의료수준은 전반적으로 우수하지만 고령화 대응을 위해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 증가 ▲보건서비스 만족도 ▲지역별 보건 격차 문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슈 분석>에서는 사회발전수준과 합계출산율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지속가능발전지수와 합계출산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경제성장 과정에서 출산율이 점점 하락하지만, 노동·교육·복지·성평등 등 다양한 분야의 성취가 누적됨에 따라 출산율이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짐을 확인했다.

 

보고서는 국회예산정책처 '정기간행물' 코너(http://www.nabo.go.kr/Sub/01Report/09_Board.jsp)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생생한 국회소식' 국회뉴스ON
김진우 기자 bongo79@assembly.go.kr

 

  • CCL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코리아 표시
    라이센스에 의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저작자 표시 저작자 표시 : 적절한 출처와 해당 라이센스 링크를 표시하고 변경이 있을 경우 공지해야 합니다.
  • 비영리 비영리 :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변경금지 변경금지 : 이 저작물을 리믹스,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을 작성하였을 경우 공유할 수 없습니다.

재미있고 유익한 국회소식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