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국민을 지키는 국회 미래로 나아가는 국회
창닫기

국회정보나침반

관리기관
서비스명
관리기관
창닫기

발행물 및 보고서

"국내 경제 지난 3분기 정점…10월부터 하강 국면"

  • 기사 작성일 2022-12-22 07:59:30
  • 최종 수정일 2022-12-22 07:59:30

국회예산정책처, NABO 경제동향 보고서
전산업생산·소매판매 감소 등 10월 들어 경제지표 뚜렷한 하강 움직임
연속신호추출법·네프치 분석 결과 지난 3분기 경기정점 가능성
IMF, 내년 성장률 0.1%p 낮춘 2%로 발표…OECD·한은도 하향조정

"글로벌경기침체·고물가·소비둔화 등으로 내년 경기둔화 가능성 높아"

 

국회예산정책처(처장 조의섭)는 'NABO(국회예산정책처) 경제동향'을 통해 최근의 경기정점이 지난 3분기였으며 이후 경기국면이 하강 전환됐다고 밝혔다. 이달 중순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사진=뉴시스)
국회예산정책처(처장 조의섭)는 'NABO 경제동향'을 통해 최근의 경기정점이 지난 3분기였으며 이후 경기국면이 하강 전환됐다고 밝혔다. 이달 중순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사진=뉴시스)

 

국내 경제가 지난 3분기를 정점으로 하강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예산정책처(처장 조의섭)는 20일(화) 발간한 'NABO(국회예산정책처) 경제동향'에서 자체 경기분석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최근의 경기정점이 지난 7~9월 사이였으며 이후 경기국면이 하강 전환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주요 경제지표는 지난 10월 들어 뚜렷한 하강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전산업생산은 전월대비 1.5% 감소했고 제조업 및 서비스업 생산도 각각 3.6%, 0.8% 줄었다. 제조업은 4개월, 서비스업은 2개월 연속으로 매월 큰 폭의 감소세가 나타났다. 소매판매도 전월대비 0.2% 감소해 2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다만 전월보다 3.8% 늘어난 건설투자를 비롯해 투자는 소폭 증가세를 유지했다.
 

국내 생산지수 순환변동치(좌)와 제조업 재고순환선(자료=국회예산정책처)
국내 생산지수 순환변동치(좌)와 제조업 재고순환선(자료=국회예산정책처)

 

보고서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경기동행지수, 각종 경기지표 순환변동치가 2020년 5월을 저점으로 상승 반점된 점에 근거해 해당 시기를 경기 저점으로 추정한 뒤 경기분석모형 분석을 거친 결과 지난 3분기에 경기정점에 다다랐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속신호를 활용한 연속신호추출법에 따르면 2021년 12월 경기정점 신호가 발생했고 해당 신호 선행시차가 7개월이므로 지난 7월이 국내 경제의 정점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확률개념을 도입해 경기전환 가능성을 일기예보처럼 예측하는 네프치(Nefci) 확률모형은 국내 경기 정점을 지난 9월로 봤다. 지난 4월 경기정점 신호가 발생했고 해당 신호의 평균 선행시차는 5개월인 데 따른 것이다.

 

이를 종합했을 때 지난 3분기 국내 경제가 정점에 다다랐다는 분석이다. 다만 모형에 의한 정점 신호와 실제 정점 간에는 시차가 존재하며 거짓 신호(false signal)가 나타났을 가능성도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속신호추출법 기반 경기정점 분석 그래프(자료=국회예산정책처)
연속신호추출법 기반 경기정점 분석 그래프(자료=국회예산정책처)

 

네프치(Nefci) 기반 경기정점 분석 모형(자료=국회예산정책처)
네프치(Nefci) 기반 경기정점 분석 모형(자료=국회예산정책처)

 

이후의 경기국면은 하향세로 접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외 주요 전망기관도 이를 고려해 내년 국내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우리나라 내년 성장률을 2.0% 및 1.8%로 발표했다. 기존보다 각각 0.1%포인트, 0.4%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한국은행도 지난 11월 내년도 성장률을 1.7%로 전망했다. 종전보다 0.4%포인트 하향됐다.

 

박선우 거시경제분석과 경제분석관은 "전망기관들은 금리상승과 고(高) 인플레이션에 따른 민간소비 회복세 약화, 글로벌 수요부진에 따른 수출 둔화, 신규 투자수요 위축 등을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의 배경으로 제시했다"며 "내년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 고물가, 소비 둔화,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등에 따른 위험요인이 존재해 경기 둔화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생생한 국회소식' 국회뉴스ON
윤희은 기자 soul@assembly.go.kr

  • CCL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코리아 표시
    라이센스에 의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저작자 표시 저작자 표시 : 적절한 출처와 해당 라이센스 링크를 표시하고 변경이 있을 경우 공지해야 합니다.
  • 비영리 비영리 :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변경금지 변경금지 : 이 저작물을 리믹스,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을 작성하였을 경우 공유할 수 없습니다.

재미있고 유익한 국회소식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