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국민을 지키는 국회 미래로 나아가는 국회
창닫기

국회정보나침반

관리기관
서비스명
관리기관
창닫기

국회소식

FAST 채널 확산방안 토론회…"구체적 로드맵 마련해야"

  • 기사 작성일 2024-05-02 17:07:50
  • 최종 수정일 2024-05-02 17:10:32

2일(목) 정필모 의원 'FAST 채널의 확산을 위한 정책토론회' 주최

패스트채널은 '광고 기반 무료 시청 TV 플랫폼'으로 OTT 대항마 부상
세계 FAST 시장 2023년 63억 달러 → 2027년 120억 달러 성장 전망
플루토TV·로쿠 등 북미시장 점유율 높아…삼성전자·LG전자 등 韓기업 선전
구체적 로드맵 부족…'FAST 사업 지원기관' 지정해 각국 정책 등 파악해야
정필모 의원 "업계 경쟁력 강화 방안부터 제도적 지원까지 전반적 논의 필요"

 

2일(목)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FAST 채널의 확산과 콘텐츠 유통시장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진행 중인 모습.(사진=정유림 기자)
2일(목)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FAST 채널의 확산과 콘텐츠 유통시장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진행 중인 모습.(사진=정유림 기자)

 

우리나라가 글로벌 FAST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국회·정부·산업·학계의 협력 아래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하는 등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2일(목)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정필모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주최로 열린 'FAST 채널의 확산과 콘텐츠 유통시장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다.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는 광고 수익으로 운영되는 무료 스트리밍 TV 서비스를 말한다.

 

발제를 맡은 김정섭 성신여대 문화산업예술대학원 문화산업예술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FAST 산업이 게임 체인저가 되기 위해서는 산업기반 구조에서 어떤 요소가 미비한지 입체적 점검과 함께 당국의 산업 육성책과 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리서치사(社)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세계 FAST 시장 규모는 2019년 2억 달러(현재 환율 기준 약 2천752억원)에서 2023년 63억 달러(약 8조 6천688억원)로 3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7년에는 120억 달러(약 16조 5천12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FAST 시장의 급성장으로 미국에서는 유료방송의 입지가 흔들리고 미디어 산업 재편 흐름이 뚜렷하다.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대항마로 부상하는 상황이다.

 

파라마운트 글로벌(옛 바이아컴CBS) '플루토 TV', 북미 최대 스트리밍 서비스 중 하나인 '로쿠', 폭스(FOX)사 스트리밍 서비스 '투비' 등의 플랫폼이 북미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스마트TV 제조사를 중심으로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각국에서 잘 팔리고 있는 뛰어난 성능을 지닌 스마트TV와 'K-콘텐츠'라는 흡인력 있는 자원이 있어 내장 운영체제(OS)를 활용한 이용자 네트워크의 국제적 확장에 매우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지원체계가 미흡하다는 점이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월 발표한 올해 주요정책 추진계획에서 'K-FAST 얼라이언스' 조성 계획을 밝혔다. 3월에는 국무총리 주재 회의에서 미디어·콘텐츠산업융합발전위원회가 미디어·콘텐츠 산업융합 발전방안을 확정했다. 

 

김 교수는 "정부의 두 가지 발표가 있었지만 FAST 산업 정책과 진흥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과 세부 정책은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업체의 사업 기반은 양호한 편이기 때문에 콘텐츠 수급 등 경영 기반 측면에서 정책당국이 더욱 뒷받침해 줄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먼저 'FAST 사업 지원기관'을 지정해야 한다"면서 "국가별 선호 콘텐츠 유형과 특성 등 각국의 정책·규제 정보를 주기적으로 파악해 FAST 업체에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FAST 산업 형성과 진흥을 위해 "방송법과 전기통신사업법, 정보통신망법에서의 매체와 콘텐츠 서비스 유형을 일관된 원칙과 기준에 따라 재분류할 필요가 있다"며 "이때 '동일·유사 서비스는 동일 규제' 기조의 수평규제 원리가 반영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플랫폼에 매력적인 콘텐츠를 충분히 공급할 것 ▲FAST 서비스 시청 기기인 스마트TV 보급 지원에 주력할 것 ▲콘텐츠 투자·제작·유통 지원체계를 일원화할 것 등을 정책 대안으로 제시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정필모 의원은 "아직 FAST 채널 확산의 초기 단계이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보완할 점이 많다"며 "업계 자체의 경쟁력 강화 방안부터 제도적 지원까지 전반적으로 논의가 필요할 때"라고 말했다.
 

'생생한 국회소식' 국회뉴스ON
정유림 기자 rim12@assembly.go.kr

  • CCL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코리아 표시
    라이센스에 의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저작자 표시 저작자 표시 : 적절한 출처와 해당 라이센스 링크를 표시하고 변경이 있을 경우 공지해야 합니다.
  • 비영리 비영리 :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변경금지 변경금지 : 이 저작물을 리믹스,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을 작성하였을 경우 공유할 수 없습니다.

재미있고 유익한 국회소식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